용어 설명 RF: reference couning, 객체가 몇개의 참조자를 참고하고 있는지의 갯수 ARC: Automatic Refercence Countion 컴파일러가 자동으로 RF를 추적하는 시스템 메모리 누수: memory leak 사용한 메모리를 헤제하지 않고 계속 쌓이거나 동작하는 현상 성능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메모리 관리란? 프로그램이 실행되면서 사용되는 메모리 공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즉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관리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메모리 누수 방지) swift는 objc와 다르게 컴파일러가 자동적으로 RF(reference couning) 메모리 관리를 도와주고 있는데,이를 ARC(Automatic Refercence Countion)이라고 한다. ARC(Au..
분류 전체보기
고차함수란 인풋을 함수로 사용하거나 함수의 결과를 함수로 리턴하는 함수 Dictionary, Set, Array (컬렉션)타입에서 주로 사용하지만, 특히 Array타입에서 많이 사용됨 고차함수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6가지가 있다. 또한 조합하여 특정 값을 만족시키는 값으로 구현 가능 접근법 점(.)문법을 통해 접근하고 클로저로 구현된다 따라서 문법최적화를 통해 보다 가독성 좋게 구현 가능 배열.map{ 클로저 } 배열.filer{ 클로저 } 01 Map 함수 각 아이템을 맵핑해서 사용 기존의 아이템을 각각 다른 새롭게 매핑해서 새로운 배열로 리턴함 var map01 = [1, 2, 3, 4, 5, 6] var newmap = map01.map { ("숫자:\($0)") } pri..

함수는 일급객체이다. 따라서 클로저도 일급객체이다. 일급객체(First-class citizen 또는 First-class object)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다른 객체들과 동등한 지위를 가지는 객체를 의미한다. 그리고 일급객체이기 위한 다음과 같은 조건이 있다. 쉽게 외우는 법은 변소에 갔더니 파리! 1. 변: 변수에 할당 가능 let add: (Int, Int) -> Int = { (a, b) in return a + b } 2. 파: 함수를 파라미터로 전달 가능 func applyOperation(_ a: Int, _ b: Int, operation: (Int, Int) -> Int) -> Int { return operation(a, b) } let add: (Int, Int) -> Int = {..